180억 원 상당 해킹 피해 입은 썸씽, 결국 국내 시장 퇴출

가상자산(암호화폐) 프로젝트 썸씽(SSX)이 해킹으로 180억 원 상당의 피해를 입은 후, 결국 국내 원화 마켓에서 퇴출된다.

디지털자산 거래소 협의체(닥사·DAXA)는 27일 썸씽(SSX)에 대한 거래 지원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닥사에 소속된 국내 4대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고팍스는 오는 3월 12일 오후 3시까지 썸씽의 거래를 지원하고 이후 거래 지원을 종료할 예정이다.

업비트 “사업 지속 가능성에 의문…투자자 보호 어려워”

업비트 측은 거래 지원 종료 결정과 관련해 “재단이 제출한 자료를 면밀히 검토했지만,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됐다”며 “투자자 보호와 관련한 문제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유의 종목 지정 사유가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달 27일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건 이후 나온 조치다. 당시 해킹으로 인해 약 7억 3000만 개의 썸씽 토큰이 탈취됐으며, 이는 프로젝트 전체 시가총액(약 800억 원)의 23%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에 닥사는 해킹 발생 이틀 후인 29일 썸씽을 ‘유의 종목’으로 지정한 바 있다.

유통 계획 논란…신뢰 회복 실패

썸씽 재단은 해킹 이후에도 유통 계획과 관련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해킹 과정에서 당초 유통 계획을 초과하는 4억 8900만 개의 썸씽 토큰이 시장에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소각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또한, 썸씽은 1년 동안 유통 계획을 세 차례나 변경하며 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재단 측은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았으며, 해킹 사건 이후의 로드맵 변경 여부에 대해서도 답변을 거부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태도가 닥사의 거래 지원 종료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닥사는 소명 과정에서 썸씽의 대응을 검토한 결과,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투자자 대응 방안…4월 12일까지 출금 지원

닥사의 결정에 따라 썸씽 거래 지원은 3월 12일부로 종료되지만, 투자자들은 4월 12일 오후 6시까지 썸씽 토큰을 출금할 수 있다. 거래 종료 이후에도 30일 동안 썸씽을 지원하는 해외 거래소로 토큰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번 거래 종료 조치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투자자 보호와 프로젝트의 투명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썸씽 사태를 계기로, 거래소와 투자자들은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더욱 면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Related Posts